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코틀린
- 정처기 필기
- 정보처리기사 내용정리
- 정보처리기사 필기
- 정보처리기사 요약정리
- 정처기 정리
- 정처기
- 코틀린 기초
- 부스트코스
- edwith
- 정보처리기사 요약
- 코틀린기초
- 정보처리기사 정리
- 한이아지
- 코틀린배우기
- 코틀린강의
- IT
- 안드로이드
- 부스트코스 서포터즈
- 정처기 요약
- 큐버
- 백엔드
- 코틀린 강의
- 정보처리기사
- Kotlin
- kkuber
- naver
- 개발자
- 코틀린 배우기
- boostcourse
- Today
- Total
초보 개발자의 성장기
genieus (1) 인터넷이 뭐야? 본문
안녕하세요!
IT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등장한 김별입니다.
저는 IT 관련 전공이 아닌 중어중문학과 전공입니다.
그래서 IT 공부를 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최대한 쉽게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.
그래서 저와 같은 어려움에 처한 여러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티스토리를 개설했습니다.
재밌게 봐주세요!!!!
목차
- 인터넷이 뭐야?
- 프로토콜이 뭐야?
- WEB이 뭐야?
인터넷 :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/I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라는
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 (와 벌써 엄청 어려워...)
한이아지가 말하는 인터넷 = 통신할 수 있는 도구를 지닌 사람들의 통신망
즉, 시간 · 공간적 제약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연결을 묶은 망을 인터넷
인터넷 구조
- End System : 통신의 처음과 마지막을 담당 즉, 송신지 및 수신지
- Packet : 데이터를 일정 크기 자른 형태 (구성은 헤더, 페이로드, 트레일러
- Router : 각각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해주는 역할
- Protocol : 인터넷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역할 (주요 프로토콜은 TCP-IP)
End System -> Packet -> Router -> Packet -> Protocol -> End System
사실 인터넷의 가장 핵심은 프로토콜!!!
우리는 현재 TCP-IP라는 이름으로 많이 사용
TCP/IP :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이어주는 통신 규약
TCP : 데이터와 승인 메시지의 형식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규약 [신뢰성 보장]
TCP는 패킷된 데이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데이터 손실을 찾아 교정하고, 순서를 재조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
IP :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 규약
IP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컴퓨터의 주소이며, [192.168.9.255]와 같이 3개의 마침표로 나뉘어진 숫자로 표시
즉 TCP/IP에서 TCP는 데이터 추적, IP 데이터 전송의 역할을 담당
WEB(World Wide Web)
'기본 IT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enieus (2) - API가 뭐야? (0) | 2020.12.16 |
---|